MVC (Model-View-Controller) 모델은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으로,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세 가지 역할로 나누어 관리하는 방법론입니다. 각각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Model (모델):
- 모델은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와 그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을 의미합니다.
-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,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, 외부 서비스로부터의 데이터 등을 관리하고, 이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가공하는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합니다.
- 모델은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내는 객체나 클래스로 구현됩니다. 데이터가 변경되면 모델은 이를 관련된 뷰와 컨트롤러에 알리고, 필요한 업데이트를 수행합니다.
- View (뷰):
- 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시각적 부분을 담당합니다.
-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화면을 표현하며, 일반적으로 HTML, CSS, UI 컴포넌트 등으로 구성됩니다.
- 뷰는 모델의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필요한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포맷팅합니다.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 모델에 전달하거나, 모델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와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.
- Controller (컨트롤러):
- 컨트롤러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고 처리하는 부분입니다.
- 사용자가 뷰를 통해 애플리케이션과 상호작용할 때, 컨트롤러는 이 입력을 받아 모델의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거나, 뷰를 변경하는 역할을 합니다.
- 주로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하지 않고, 사용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모델을 업데이트하거나 뷰를 선택하는 조정 역할을 수행합니다.
- 일반적으로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하며, 서로 다른 뷰에 같은 모델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합니다.
MVC 패턴의 주요 장점은 각 부분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현되어 유지보수와 확장성이 용이하다는 점입니다. 예를 들어, 뷰의 디자인 변경이 모델이나 컨트롤러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가능하며, 데이터 처리 방식의 변경도 인터페이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모델 내부에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. 이로 인해 코드의 재사용성과 유연성이 크게 향상됩니다.
'JAVA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버로딩 (0) | 2024.06.24 |
---|---|
참조변수와 일반변수 (0) | 2024.06.24 |
객체와 클래스 (0) | 2024.06.21 |
2차원 배열 (0) | 2024.06.21 |
멤버 변수의 종류와 특징 (0) | 2024.06.20 |